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왁물원/논란 및 사건 사고
,
,
,
,
,
이 문서는 사건/사고를 다룹니다.
이 문서에 적힌 사건/사고에 피해를 받은 개인 또는 단체가 있을 것입니다. 그들을 향해
"X를 눌러 조의를 표하십시오."

1. 개요2. 왁물원 내 음원 불법 배포3. 왁물원 및 이파리들의 보컬로이드 팬덤 비하4. 왁물원 내 산불 재해 기부 갈드컵5. 왁물원 내 DJMAX 비하
5.1. 2차 창작물 원작 비하
6. 이태원 압사 사고 비하 논란7. 왁물원 내 타 플랫폼 비방8. 팬덤 내부 자정작용 관련9. 왁물원 내부 개인정보 탈취 사건

1. 개요 [편집]

우왁굳의 팬카페인 왁물원에서 이파리와 관련된 각종 논란 및 사건 사고들을 서술한 문서.

2. 왁물원 내 음원 불법 배포 [편집]

#펨코@#루리웹@

왁물원에서 주르르SCIENTIST 커버 음원을 불법 배포했다는 내용으로 논란이 점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부 팬들만 한 것이 아니라 카페 스텝들까지도 음원 파일을 공유하였다는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또한 논란이 시작되자 게시글을 삭제했다.#(삭제됨)왁물원@

릴파가 커버곡 조회수 기념 공약으로 Never Enough 음원 공유를 했던 유튜브 커뮤니티 게시글도 화제가 되었다.
파일:떡밥위키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이러한 분위기는 이세돌 멤버들이 직접 음원을 배포하였던 상황을 기조로 형성됐다는 의견이 존재한다. #버스나갤(돌미갤, 숲종갤)@

또한 아이유에잇 커버곡과 MR을 왁물원 내에서 불법 배포를 하여 논란이 되었다.원글(삭제됨)왁물원@ 유튜브 링크[1]
#1개드립@1, #2실베@2, #3펨코@3

2025년 7월 18일 오후 7시 10분 기점으로 우왁굳의 공지를 통해 노래 관련 게시물은 유튜브 영상 혹은 숲 클립만 허가하고 이외의 방법으로 업로드한 경우(파일 직접 다운로드 형태 및 사운드클라우드 등) 글 삭제 및 활동정지, 강제탈퇴 처리가 될 수 있음을 공지했다. 왁물원 공지 또한 해당 내용은 2025년 7월 22일 오후 8시 41분에 작성된 2025 왁물원 이용 규정의 음악 관련, 첨부 파일 관련 문단에도 다시 상기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44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3. 왁물원 및 이파리들의 보컬로이드 팬덤 비하 [편집]

파일:떡밥위키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하쿠0089 ODDS&ENDS 모션 무단 사용 논란 문서
번 문단을
팬덤 간 분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세계아이돌이 포함된 방송인 크루 왁타버스 소속 고정 멤버였던 하쿠0089(이하 하쿠)와 관련한 논란이 발생한 이후 팬덤 간에 분쟁이 발생했다.

해당 왁타버스 소속 고정 멤버(이하 고멤)은 이세계아이돌 소속 멤버는 아니었지만, 해당 고멤이 왁타버스 팬덤 안에서 전반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기에[2] 왁타버스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이세계아이돌의 팬덤 이파리에서도 마찬가지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었다.
해당 논란으로 하쿠에 대한 외부 여론이 달아오르자, 하쿠는 논란이 된 부분에 대해 트위터와 왁물원을 통해 해명하며 사과문을 게재했다. 그러나 하쿠 본인이 사과문을 올리고 관련 영상을 내린 이후에도 왁타버스 팬덤 측은 보컬로이드 팬덤에 대한 비난을 이어갔다.#1왁물원[3] #2펨코[아카이브52]

문제는, 이파리 또한 왁타버스 팬덤 측에서 보컬로이드 팬덤을 비난하는 데 참가했다는 점이다.#(삭제됨)돌마갤@ 해당 글의 본문과 댓글에서 보컬로이드 팬덤에 대한 강도 높은 비난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도 보컬로이드 컨텐츠인 프로세카의 악곡인 Beyond the way의 작곡가 Giga가 업로드 한 공식 영상에서 기계음[5]이 듣기 싫다면서 이세돌 측의 커버곡이 더 낫다는 행패를 부린 바 있다. 세카이 버전인 Vivid BAD SQUAD영상에서도 마찬가지로 댓글창에 보컬로이드를 비하하며 커버곡을 올려치는 댓글이 다수 작성되었다.

4. 왁물원 내 산불 재해 기부 갈드컵 [편집]

2025년 3월 전국 동시다발 산불 사태 당시 왁물원에서는 산불 재해 릴레이를 하였었는데, 카페 내 한 유저가 등급 별 기부 현황표를 올리고원본글왁물원@ 더 나아가 닉네임을 가리지 않고 일자, 개인별 금액 및 등급을 나열한 표(실제 시트)@를 공유하는 등 줄세우기, 갈드컵을 열었다는 점이 밝혀졌다.[6]

이와 같은 사건이 밝혀지자 커뮤니티에서는 '이런 글을 카페 내에서 제재하지 않느냐', '무슨 엑셀 방송 하냐' 등의 어이없어하는 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다. #1디맥갤@1#2디맥갤@2

5. 왁물원 내 DJMAX 비하 [편집]

#1루리웹@1 #2싱벙갤@2 #3개드립@3

2025년 6월 12일, DJMAX RESPECT V의 신규 DLC인 V LIBERTY 3 내 이세계아이돌의 KIDDING 수록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며 과거 이파리들이 공식 팬카페에 게시한 DJMAX 시리즈 비하 게시물들이 수면 위로 올라왔다. #(삭제됨)버스나갤@

왁물원에서는 팬 게임인 WJMAX와 DJMAX를 비교하며 싱크, 타건음, 원본과의 비교를 담은 게시물들이 쏟아졌다. 심지어 DJMAX 측에서 2차 창작을 허가했음에도 불구하고, DJMAX보다 왁제이맥스가 더 낫다는 식의 수많은 게시물과 댓글이 올라오며 DJMAX에 대한 노골적인 비하를 서슴지 않았다.

또한 이파리들은 자신들은 DJMAX를 비하한 적이 없다는 게시물을 올렸으나, 이는 명백한 거짓이었다. 왁물원 내에서 DJMAX를 노골적으로 비하하고 왁제이맥스와 비교하며 비하하는 등, 원작에 대한 존중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행태를 보였음에도 이를 외면하는 모습을 보였다.#버스나갤@

이러한 일로 인해 DJMAX RESPECT V 개발사 로키 스튜디오는 해당 곡을 삭제함과 동시에 앞으로 정규 DLC[7]는 라이선스 곡을 배제하고 오리지널 곡으로만 채우겠다 선언하게 되고, 이로써 이 사건 때문에 다른 라이선스 곡들이 DJMAX 정규 DLC에 수록될 기회까지 잃고 말았다.

이후 2025년 6월 16일 WJMAX저작권 논란을 시인하며 개발 및 배포 종료를 공지하였고, DJMAX 측도 2차 창작 가이드라인을 수정해 2차 창작게임을 허락하지 않을 것이라 밝혔다.

5.1. 2차 창작물 원작 비하 [편집]

위 DJMAX 비하 사건에서 촉발되어 규모가 더욱 커진 사건. 이파리 내지는 근본적으로 우왁굳 팬덤이 이런식으로 2차 창작물이 더 낫다고 부심부리며 되려 원작을 비하하는 행태는 각종 우왁굳 2차 창작 및 커버곡들에서부터 보여왔던 행보로 #예시디맥갤@, 이로 인해 우왁굳 기반 커버나 2차 창작물이 만들어지는 걸 그 원작 팬들이 대부분 싫어한다. 최소한 그걸 만든 우왁굳 팬은 우왁굳과 원작 양쪽 모두에 대한 팬심이 있더라도 그걸 소비하는 다른 우왁굳 팬들은 '우왁굳의 2차 창작물'로써 소비하는 거지 '그 원작의 2차 창작물'로써는 전혀 관심이 없으니, 결국엔 원조에 대한 존중 없이 우왁굳을 찬양하는 쪽으로 번지기 때문이다.

이는 비단 침팬치 뿐만 아니라 우왁굳 본인 역시 마찬가지다. 자신을 기반으로 타 IP와 섞은 2차 창작물이 나오더라도 '나를 기반으로 한 2차 창작물'로 받아들일 뿐, 원조 IP에 대한 존중심은 일절 보이지 않는다. 이는 방송 중 디제이맥스 + 우왁굳 팬 게임인 WJMAX를 플레이하며 정작 원작인 DJMAX에 대해선 스팀에 부정적 평가를 남기는 태도로 명확하게 드러났다. 심지어는 고멤인 뢴트게늄의 커버곡이 원곡보다 훨씬 더 낫다는 발언도 하였다.#펨코@ 이세계아이돌 멤버 역시 원곡을 비하하며 같은 멤버의 커버곡을 추켜세웠단 사실이 드러나며 비난의 화살이 쏟아졌다.@

명단을 보면 알겠지만 발표곡이 많은 가상 아이돌 장르에서 주로 이러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으며 특히 X(舊 트위터)에서 이러한 비판이 많다. 구글의 경우에는 원곡보다 커버곡을 대표로 표시하는 등 상용 검색 엔진에서의 오염도도 심각한 상황이다. #디맥갤@ 이하는 DJMAX 사건 이후 재조명된 사건들이며, 해당 장르에서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는 2차 창작을 금지한 경우 ※ 표기. (가나다순 정렬)

6. 이태원 압사 사고 비하 논란 [편집]

이태원 압사 사고 당시 왁물원 내에서 참사 관련 조롱글들이 올라왔다는 지적이 제시되었다.#싱벙갤@ 또한, "자자 이태원 모시깽이는 그만하시고 우리는 상컨이느 즐기자구요"#왁물원@@라면서 사건 자체를 중대 사항이 아닌듯 '모시깽이[19]'라 표현하고 마치 '이런 사건보다 우리는 우왁굳 콘텐츠가 더 중요하다'라는 식으로 사건을 가볍게 여기는 듯한 글이 올라오기도 하였으며, "이태원은 인싸들의 성지라고 하더니 뷰우우우신들의 모임이였네요"#왁물원@라면서 명백히 희생자를 비하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충분한 글도 올라왔었다. 일부 이단이라고도 볼 수 없는 게 해당 글들의 작성자들은 모두 카페 최고 등급인 '느그자' 유저들이었으며, 다른 회원들도 대부분 'ㅇㅈ', 'ㄹㅇ'이라는 이모티콘으로 동조하는 여론이었다.

한편 일부 회원들이 '사람이 죽었는데 이런 글은 좀 아닌 것 같다'고 말하자, 해당 게시물 작성자는 '(카페에서) 시신 사진을 올리는 분들을 얘기하는 것일 뿐'이라는 식으로 변명하는 모습을 보였다. 허나 해당 주장과 달리 제목은 명백하게 카페 회원이 아닌 '이태원에 간 사람들'을 겨냥한 제목이었다.

7. 왁물원 내 타 플랫폼 비방 [편집]


이파리들은 왁물원 내에서 우왁굳이세계아이돌이 방송하는 SOOP과 경쟁 관계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치지직을 꾸준히 견제, 비방해왔다. '북지직' 혹은 '뿌지직' 등 북한과 치지직을 합성하여 부르거나 자신들의 방송 플랫폼 SOOP과 비교하며 "치지직은 억빠가 심했다", "욕을 먹어야 정신차린다" 등의 발언을 해왔다. 이 과정에서 만류하는 사람은 찾아볼 수 없었고, 오히려 동조하거나 같이 타 플랫폼을 멸칭으로 부르며 즐기기 바빴다.

이파리들의 유일한 공식 활동 장소인 네이버 카페에서 결국 같은 네이버 계열 치지직을 비하하는 것은 결국 스스로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자가당착에 불과하다. #버스나갤@

해당 게시글을 작성한 유저들은 카페를 상당히 오래 이용한 유저들이였으며, 2025년까지도 아무런 제재없이 여전히 활동 중이다.

8. 팬덤 내부 자정작용 관련 [편집]

파일:떡밥위키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악성 팬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팬덤 내 자정작용에 대한 성토를
무시로 일관하는 이파리들의 댓글[20]
파일:커뮤충.png
"X랑 커뮤를 보면 안됩니다", "유튜브 댓글, 위키, 커뮤 다 한패"라며 논란 자체를 부정하는 모습

2025년 3월 22일, 이세계아이돌 실물 관련 논란을 계기로 이파리 팬덤의 자정작용 부족을 비판하는 글들이 왁물원에 올라왔다.#1버스나갤#2버스나갤 글의 내용은 노노제팬의 책임 회피 및 칸나 관련 사이버 불링을 관리자가 의도적으로 방관하는 등 팬덤의 자정작용 부족을 비판하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댓글로 "짐승새끼"라는 욕설이 달릴 정도로 비판이 전혀 수용되지 않는 모습을 보였고 해당 게시글 또한 관리자가 삭제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이러한 왁물원 내 반응에 "이제 와서 자정작용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 "악플 달던 놈들이 멀쩡히 활동 중이다" 등 팬덤의 자정작용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인 여론이 형성되었다.[링크17][아카이브71]

한편, 이파리는 해당 논란 대부분이 스텔라이브 팬덤이나 소수 분탕의 날조 및 조작이라고 주장[23]하며 팬덤 싸움으로 몰아가는 모습을 보였다.[링크18][아카이브72]

2025년 4월 11일 우왁굳 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에 대해 우왁굳 본인이 2차 입장문을 게시하여#1왁물원 해당 문제에 대해 사과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는 입장을 발표했고, 우왁굳 본인의 잘못을 감싸지 말아 달라는 부탁을 하였으나 "치지직 시청자들이 열등감을 가지고 억지 논란을 만들었다.", "벌레 새끼들이 트집 잡을 게 없으니 오히려 좋다" 등 격하게 반응하며 저작권 문제의 원인을 외부로 책임전가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링크19][아카이브73]

이후에도 자중하자는 뉘앙스의 글들이 올라왔으나 댓글에서의 부정적인 반응을 이끌고 있으며, 대부분의 논란을 날조라고 묻어버리는 등 여전히 자정작용이 전혀 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버스나갤@
4월 30일, 여전히 본 문서를 "한두 명의 일탈을 전체로 싸잡았다"라며 무시하는 태도를 일관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삭제됨)왁물원@ 하지만, 왁물원 내에서조차 논란이 발화된 시점에서 당연히 해서는 안 되는 태도이며, 커뮤니티에서는 방관자들의 이중성을 비판하고 있다. #1버스나갤 #2버스나갤[아카이브74]
5월 29일, 왁물원에 본 문서 및 이파리의 사이버 불링에 대해 질문하는 글이 올라오나, "그거는 안보는게 좋아요, 왁물원 말고 다른 커뮤에서 분탕친거라", "애초에 팬덤 자체가 논란이 될려면 팬덤에서 대놓고 공식적으로 논란에 동참하는거 밖에 없다", "저희가 왁쥬에서 같이 돌린 사건이 있으면 인정하겠는데 그건 못가지고 오면서" 등의 반응과 함께 여전히 사이버 불링을 부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버스나갤@

6월 13일 오전 DJMAX 논란 관련 자정작용을 시도하는 글(삭제됨)왁물원@이 올라왔다. 이에 대해 수긍하는 반응도 있는 반면 부정하는 반응도 존재하였으며, 오후에 해당 글은 삭제되었고 작성자는 활동정지 당하였다.#버스나갤@ 이후 우왁굳이 팬카페에 사과문왁물원을 게시했음에도 그 다음에 게시된 자정작용을 시도하는 이를 향한 조리돌림 및 의미없는 댓글[29] 도배를 하는 모습#왁물원@을 보였고, 해당 논란으로 이파리들의 논란과 사건 사고가 다시 화제가 되자 왜 항상 자기들만 반성해야 하냐며왁물원@[30] 적반하장의 태도를 보였으며, 일련의 사태들이 날조#1왁물원@1#2디맥갤@2와 조직적 공격#왁물원@[31], 내지는 여론 조작의 결과#왁물원@라고 지속적으로 주장하는 등 자정작용을 할 수 없다는 현실만 재확인시켰다.

우왁굳 과거 언행 대규모 공론화 이후, 우왁굳은 본인의 최근 유튜브 영상에 약 300개가량의 논란을 지적하는 댓글이 달리자 이를 전부 삭제하였다. #싱벙갤 @ 또한 이 소식을 접한 왁물원에서는 "X랑 커뮤를 보면 안됩니다", "유튜브 댓글, 위키, 커뮤 다 한패"라며 논란 자체를 부정하는 반응#디맥갤@을 보이면서도, 일부 회원들이 더 이상 논란을 회피하지 말고 자정작용을 하자는 게시글을 올리자 삭제되는 등#1버스나갤 @ #2디맥갤 @ 여전히 자정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9. 왁물원 내부 개인정보 탈취 사건 [편집]

파일:떡밥위키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왁물원 내부 개인정보 탈취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작곡을 본인이 한 것도 아닌데 MR 영상의 설명란에 "본 INST 무단사용을 엄격히 금함을 밝힙니다."라고 적어놨다.(...)[2] 왁타버스 내의 인기투표 결과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 '이왜인'이라는 댓글을 통해 인기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댓글창에서 보컬로이드 팬덤에 대한 비난이 이루어지고 있음 역시 확인할 수 있다.[아카이브52] @1 @2[5] 애초에 해당 곡의 버추얼 싱어 버전은 Giga 특유의 뛰어난 조교로 보카로 고유의 기계음을 가지고서 그로울링 등 독특한 창법을 구사하는 곡이다. 또한 미쿠는 버전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며 기계음이 최대한 줄어들었기에 기계음이 거의 없다.[6] 2025년 6월 17일을 기준으로 시트를 만든 작성자의 기부 내역은 없다.[7] V EXTENSION 시리즈, V LIBERTY 시리즈 등 RESPECT V의 신곡으로 이루어진 DLC를 의미한다.[8] 해당 곡은 수성의 마녀가 국내에서 한국어 더빙 방영되며 공식적으로 한국어 번안이 되긴 했으나, 레이블인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와는 협상이 원활했지만 원곡 담당자인 YOASOBI와의 협상이 힘들었다는 비화가 있다. 현재 유튜브에는 'OFFICIAL' 표기로 업로드 되어 있으며, 한국어 더빙판에서 사용된 번안 가사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사실상 이중 저작권 위반에 해당한다.방영 당시 관계자 게시글@[9] 2025년 6월 21일에 오피셜 표기를 슬그머니 제거하였다.[10] 동인지 류를 제외한 팬메이드 굿즈 등이 일절 금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작권 관리가 엄격해 해당 작품의 성우들도 함부로 개인 이벤트 등에서 곡을 부르지 못할 정도라고 한다.[11] 정작 수장인 우왁굳은 해당 작품을 중도 하차하였다.[12] 2025년 6월 21일에 오피셜 표기를 슬그머니 제거하였다.[13] 사건 발생 당시 한국에서 공식적으로 음원을 서비스하는 업체가 없었다. 이후 글로벌 서버가 런칭되며 2025년 6월 26일자로 스트리밍 제한이 풀렸다.[14] 게임 특성상 곡 종류가 2종류인데, 작곡가인 Giga가 올린 버추얼 싱어 버전 영상은 물론이거니와, 세카이 버전인 Vivid BAD SQUAD영상에서도 패악질을 부리면서 눈쌀을 찌푸리게 만들었다.[15] 가사의 의미를 중시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어 왜곡 우려가 있는 번안에 관한 허가를 내주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며, 이러한 성향을 따라 Ado 본인이 아예 한국어로 개사한 버전을 직접 노래하기도 했다.[16] 외국인 자막러들조차 신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현재 한국에서 공식적으로 한국어로 번안된 건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괴도키드 1412의 오프닝인 사랑의 시나리오 외에는 없다.[17] 2곡 다 일본 컬럼비아가 관여되어 있으며 컬럼비아가 음원 장사에 있어 극도로 보수적인 스탠스를 취하고 있는 탓에 데레마스는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도 게임 사이즈로만 곡을 제공하고 있다. 공식 방송에서도 풀버전을 들을 수 없을 정도며 본가는 풀버전 음원을 공개하기는 했지만 그 수가 적은데다 무성의한 분류로 인해 질타를 들은 바 있다. M@STERPIECE의 경우엔 아이돌 마스터 스탈릿 시즌 관련 음반으로도 출시가 되어, 란티스 쪽으로도 연관이 있는 곡이기도 하다.[18] 아카이브[19] 징버거의 밈으로 "대충, 거시기, 어쩌구" 정도쯤의 의미이다.[20] 첫번째, 세번째 댓글의 노란마크를 달고 있는 회원은 왁물원 내에 가장 높은 등급인 '느그자'이다.[링크17] #3버스나갤 #4버스나갤 #5버스나갤 #6버스나갤[아카이브71] @1 @2 @3 @4 @5 @6[23] 해당 주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에펨코리아 SOOP 게시판 사이버 불링 내로남불 문단 참고.[링크18] #1버스나갤#2펨코#3버스나갤[아카이브72] @1 @2 @3[링크19] #2(삭제됨)싱벙갤#3(삭제됨)버스나갤 #4(삭제됨)펨코[아카이브73] @1 @2 @3 @4[아카이브74] @1 @2[29] 댓글에 도배되는 'ㄴㅁㅇ'은 '님밑왁'의 초성체이며 이는 '님 밑에 왁굳님 글'이라는 의미로, 우왁굳의 글 바로 위에 해당 게시자의 글이 올라간 것을 축하하는 뜻이다. 즉, 사과문과 자정작용에 대한 내용은 아무것도 없는 의미 없는 댓글이다. 심지어 'ㄴㅁㅇ'을 도배하게 만든 그 아래 글이 바로 상술된 우왁굳의 사과문이다.[30] 인기글 기준 충족 증거[31] 특히 해당 게시물이 자정작용을 주도적으로 해야했던 수장 우왁굳의 좋아요를 받은 것이 드러나기도 했다. #싱벙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